태극기 게양 국군의날, 개천절, 한글날 태극기 게양은 필수! 완연한 가을에 접어드는 10월에는 특별한 날들이 있는데요. 바로 태극기를 게양해야 하는 날들입니다. 10월에 태극기 게양하는 날들에 대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0월 1일 10월의 첫쨋날은 제66주년을 맞이하는 국군의 날인데요. 국군의 날에도 태극기를 게양해야 하는 지 잘 모르셨던 분들도 많으시죠? 국군의 날은 우리나라 군대의 창설과 발전을 기념하는 날로 국기를 게양해야 하는 날이랍니다.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불철주야로 고생하는 우리의 국군장병들을 생각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국기를 게양하도록 합시다. 10월 3일은 4,346주년 개천절로, 하늘이 열린 날을 의미합니다. 우리 민족의 시조인 단군이 고조선을 개국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죠. 홍익인간의 개국이념을 계승하고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으로서.. 2014. 9. 30. 8·15 광복절, 잊지 말아야 할 울산의 독립운동가 8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우리나라 사람은 아마도 없겠죠? 올해 8월 15일은 69주년 광복절입니다. 역사적으로 8·15해방은 우리 민족에게 외세의 간섭과 지배를 받지 않는 자주적이고 근대적인 민족국가 건설의 기회를 제공한 날이었습니다. 우리나라가 뜻깊은 광복을 맞이하기까지는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는데요. 특히, 울산은 대한광복회 총사령관인 박상진 의사의 고향일 뿐만 아니라, 일본의 식민 교육에 대항하여 세운 사립학교가 동면 서부리의 사립개운학교, 범서면 굴화리의 사립진명학교, 하상면 병영의 사립 일신학교, 점서면 구영리의 사립 일진학교 등 4개, 서당수가 106개로 민족 교육의 열기가 대단히 높은 곳이었습니다. 69주년 광복절을 맞아, 광복절의 의의와 광복을 위해 힘썼던 울산의 .. 2014. 8. 12. 제헌절 공휴일은 아니지만, 태극기 게양은 잊지마세요! 우리나라 5대 국경일인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중에 공휴일이 아닌 날은 언제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제헌절인데요. 제헌절은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어 무휴국경일이 되었답니다. 공휴일이 아니라고 해도, 제헌절의 의미는 중요하답니다. 오늘은 제 66주년 제헌절을 맞아 제헌절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1948년 7월 17일에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되었습니다. 헌법은 나라를 다스리는데 기본이 되는 법률로, 이것을 만들어 공포한 날이 바로 제헌절입니다. 우리나라가 1945년 8월 15일에 광복을 맞이한 3년 뒤인 1948년에 총선거를 실시해 국회의원을 선출했고, 선출된 국회의원들이 모여 헌법을 만들었습니다. 제헌절은 자주독립의 떳떳한 민주국가임을 세계에 공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기 .. 2014. 7. 15.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