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업 울산시 지역 주력산업 중소기업 & 청년 근로자 취업 지원 안내 지역의 발전은 지역 청년 근로자들이 이끌어 간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젊고 유능한 지역 인재의 존재는 중요한데요. 하지만 청년 실업 문제로 재능과 실력을 갖췄음에도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이에 울산시에서 청년 실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 주력사업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고용장려금을 지원하는 「주력산업에 주력하는 청년 일자리 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합니다. 💡「주력산업에 주력하는 청년일자리 사업」청년 참여기업 추가모집 안내 「주력산업에 주력하는 청년 일자리 사업」이란 지역 4대 주력산업인 조선, 자동차, 에너지, (첨단)화학 산업 관련 중소기업에서 청년 채용 시 고용장려금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사업 안내 ▶ 사업기간 : 2020년 5월 ~ 12월 ▶ 지원대상 미취업 청년.. 2020. 6. 8. 울산시와 정부가 함께하는 청년 일자리 BEST 10 최근 사회에서 청년실업이 가장 큰 걱정거리 중 하나입니다. 사회에 진출해 청년들이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직종에 취업하지 못하는 문제는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큰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것인데요. 울산에서는 이런 청년들을 위해 여러 가지 지원을 할 예정입니다. 어떤 지원들이 기다리고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 울산시+정부합동 청년일자리 10대 지원사업 추진 지난 3월 말 울산시는 청년 실업해소를 위한 청년일자리 추경을 발표했으며, 정부도 지난 5월 21일 국회에서 청년일자리 추경을 통과시켰는데요. ‘울산시+정부합동 청년일자리 10대 지원사업’은 취업지원부터 취업성공 후 장기근속까지 울산시의 5개 사업과 정부의 5개 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로드맵입니다. 이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청년들의 취업을 정착.. 2018. 6. 18. 미래 일자리 지역순회 포럼 <미래를 알면 직업이 보인다> 미래지향적인 사고와 준비로 청년취업난을 타파해보세요!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취업시장. 사회생활을 위해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청년들에게는 막막하기만 한데요. 울산시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이런 청년들의 고민을 해결해주기 위해 오는 6월 9일 목요일 을 개최합니다. 은 ‘미래를 알면 직업이 보인다, 기술 변화와 청년의 미래, 그리고 일자리’란 주제로 미래사회변화와 직업세계에 대한 포럼을 펼칠 예정인데요. 날마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넘쳐나는 2016년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우리 청년들에게 미래지향적인 진로탐색과 생애설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포럼은 6월 9일 목요일 울산 과학관 빅뱅홀에서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2시간 동안 개최되며, 포럼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사전.. 2016. 6. 7. 기분 좋은 만남, 일자리로 이어갑니다!_희망이음 프로젝트 울산시는 6월 26일 오전 11시 30분 롯데호텔 울산 샤롯데룸에서 박맹우 울산시장, 신동식 울산테크노파크 원장, 지역 대학교 부총장, 지역우수기업 대표이사, 지역청년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2년 희망이음 프로젝트' 발대식을 갖습니다. 행사는 지역우수기업에 대한 현판 수여, 박맹우 시장의 축사, 기업대표의 희망사, 청년대표의 희망이음 다짐 선서 등으로 진행됩니다. 발대식에서 박맹우 울산시장은 "이번 희망이음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은 적극적인 홍보로 지역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대학생들도 자신의 적성과 역량을 감안하여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시는 앞으로도 책임감을 가지고 기업의 구인난과 청년층의 취업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으며, 지역 우수기업 발.. 2012. 6. 26. [청년취업]청년층 YES프로젝트로 취업하자! 청년 실업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기사를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오는 '김누리'군(28세). 대학은 작년에 졸업을 했지만 취업 도전에 번번히 실패해 이제는 자신감 마저 없어진 상태. 졸업한 지 1년이 지나고 있는 이 시점에 부모님께 손 벌리는 것도 눈치가 보이고, 대학 동기들의 취업에 성공했다는 페이스북 알림을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온다. 점점 더 작아지는 김누리군에게 취업의 문이 열릴까?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이 적합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모습은 아직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입니다. 취업을 하기 위해 스펙 쌓기에 노력을 기울이지만 취업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 근본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인데요. 정부에서는 취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12. 5. 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