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신화마을 [블로그기자] 테마가 있는 벽화골목 "울산 신화벽화마을" 지붕 없는 미술관이라 불리는 테마가 있는 벽화마을 "울산 신화벽화마을" 울산 신화마을의 탄생 배경은 1960년대에 울산공단이 형성되면서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을 위해 만들게 된 공단 이주민촌이었다고 합니다. 신화(新和) 마을이라는 이름 또한 "새로운 화합 "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는데, 낯설고 새로운 마을로 삶의 터전을 옮겨 오면서, 잘 살아보겠다는 새 희망의 뜻으로 마을 이름을 정한 듯합니다. 60년대 정서가 벽화로 남아 있는 울산 신화마을로 가보겠습니다. 신화마을 입구에 들어서자 지붕 없는 미술관을 알리는 대형 조형물이 서있고, 조금 걸음을 떼자 울산의 대표 고래인 귀신고래가 지붕 위에서 첫인사를 해줍니다. 거리도 지붕도 이름에 걸맞게 거리 미술관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벽화나 조형물들의.. 2019. 2. 11. [블로그기자] 신화마을 골목투어와 함께 나만의 에코백 만들기 체험 1960년대 울산공단 조성으로 인해 그곳에 사시던 분들이 대거 이주를 하게 됩니다. 자신이 살던 삶의 터전을 잃은 분들을 위해 만들어진 이주민촌이 바로 지금 현재의 신화마을이랍니다. 보상 받은 돈으로 땅을 사서 집을 지은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은 적게 받은 보상으로 땅을 살 돈이 부족하여 땅을 임대 받아 집만 짓고 살게 됩니다. 국가의 땅에 건축을 했을 경우에는 재건축이 안 된다고 하는군요. 신화마을에 살고 계시는 대부분이 임대자이기 때문에 그래서 신화마을 70~80%의 가옥 구조가 70년대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간혹 새로 지은 건물의 경우에는 땅을 산 사람들이 신축해서 올린 것이라 보면 된답니다. 이러한 구조적 이유로 신화마을은 시간여행을 하는 것처럼 옛 모습 그대로의 느낌을 간직하고 있고.. 2018. 3. 13. [블로그기자] 미술해설사와 동행하는 신화마을 골목투어 미술해설사와 동행하는 신화마을 골목투어 지난 3일, 제5기 울산누리 블로그 기자들의 마지막 '블로그 기자단데이' 행사가 있었습니다. 작년 4월부터 약 1년간의 임기가 끝나는 이번 달 말일까지의 모든 일정을 마무리하며 맛있는 식사와 차, 그리고 그보다 더 맛있는 담소를 나누는 자리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울산을 대표하는 벽화마을로 유명한 남구 야음동 신화마을로 이동하여 미술해설사와 함께 벽화골목을 둘러보고, 에코백 만들기 체험 행사를 가졌습니다. 흔히 '지붕 없는 미술관'이라는 수식어로 불리는 신화마을은 1960,70년대 울산에 대기업들이 공장을 세우면서 거주지를 잃게 되신 분들을 위해 만들어진 공단 이주민촌입니다. '신화(新和)'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새롭게 화합하여 잘 살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 2018. 3. 9. [블로그기자] 소소하고 아름다운 신화마을의 숨은 봄찾기 도시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어쩌면 너무도 치열하고, 삭막하고, 외롭고 바쁜 일일지도 모릅니다. 여유없이 너무도 바쁘게 지나가는 하루, 일주일, 한 달을 보내면서 주말 또는 휴가만 기다리는 도시의 많은 사람들. 빡빡하고 혼잡한 일상에서 벗어나 여유를 즐겨보러 봄꽃축제나 유명 관광지로 떠났는데, 교통체증과 수많은 인파 속에서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고 오는 경우도 생깁니다. 잠시 쉬어갈 수 있고, 벽화를 보면서 가족을 떠올리고, 과거를 추억하며 그림 한 점에 웃으며 잠시 생각할 수 있는 그런 곳이 바로 신화마을입니다. ▲ 벚꽃나무 앞이 아니더라도요즘 유행인 전통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어도 예쁘겠습니다. 지붕 없는 미술관이라 불리는 울산 도심 속의 작은 힐링 쉼터, 신화마을은 1960년대, 울산공단의 형성으로 삶.. 2017. 4. 29. [블로그기자] 지붕없는 미술관, 울산벽화마을, 신화마을 1960년대 석유화학단지가 조성되면서 당시 매암동에 거주하던 주민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집단 이주민 마을 신화마을은 '주민들이 화목하게 잘 살자'는 의미로 이름붙여졌습니다. 울산 삼산동 롯데백화점에서 도보로 이동한 곳으로 울산을 한곳정도 볼 시간밖에 없다면, 단연 추천할만한 곳입니다. '고래를 찾는 자전거'영화에서 벽화마을로 선정되면서 일부 벽화를 조성했는데, 이후 문체부 주최 마을미술프로젝트에 선정되어 본격적으로 지역작가들과 함께 미술마을로 만드는 작업을 했습니다. 벽화들을 작가들이 그려서 그런지 벽화 하나하나마다 예술성이 있는 작품들이 가득한 곳입니다. 신화마을에서 빼 놓을 수 없는 포인트는 곳곳에 놓여진 조형물입니다. 지붕이나, 모서리를 유심히 보시면 미소지어지게 만드는 귀엽고 앙증맞은 조형물들이 놓.. 2016. 8. 25. [블로그기자]고래와 함께 떠나는 벽화 여행, 울산 신화마을 울산의 유명한 벽화마을 신화마을을 방문하였습니다. 신화마을은 2010년에 조성이 되었고 지금도 방문객분들이 꾸준히 방문하고 있는 울산의 대표관광지입니다. 제가 방문했을때도 친구끼리 연인끼리 가족끼리 방문하신 여러 분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태화강역에서 시내버스로 울산시외버스터미널쪽으로 이동하고 환승하여서 자동차검사소앞 정류장에서 내려서 신화마을 찾아갔습니다. 여천오거리를 지나서 위의 사진에 보이는 입구 표지판을 보고 신화마을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마을이 보이지 않고 노지들이 보여 당황하였는데 위쪽으로 조금 올라가니 신화마을이 나타났습니다. TIP. 여천오거리 정류장, 새터삼거리정류장, 야음장생포동주민센터 정류장이 신화마을 근처에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한 한옥도 .. 2016. 3. 9. [블로그기자]지붕 없는 미술관展 #울산 신화마을 전시회 마을 전체가 예술인 신화마을에서 열린 "지붕 없는 미술관" 전시회 "지붕 없는 미술관" 이는 울산 남구 신화마을의 입구에 걸린 팻말의 소개글입니다. 또한 지금 신화마을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회의 제목이기도 하지요. 흔히들 예술작품을 보기 위해서 미술관을 찾습니다. 지붕이 있는 미술관, 전시실 안에서 조명을 받은 그림이나 조각을 보는 것이지요. 신화마을의 전시회는 이런 선입견을 뒤집는 것입니다. "여천로 80번길" 신화마을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길이자, 신화마을의 중심도로이지요. 이길을 따라 가다 보면 하얀 바탕에 붉은 고래모양의 표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붕없는 미술관전을 안내하기 위해 만든 표지입니다. 울산의 옛 조상들이 반구대에 세긴 고래모양에서 따온 표지이지요. 울산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 2015. 9. 23. [블로그기자]살아있는 신화같은 울산 신화마을 프로젝트 탐방 울산 야음장생포동에 위치한 신화마을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벽화마을 중 특색있는 볼거리로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오고 있습니다. 신화마을 프로젝트 역사 신화(新和)라는 이름은 “새롭게 화합하여 잘 살자”는 지명의 내용을 갖고 있어 삶의 터전을 잃고 이주한 당시의 정서를 느끼게 합니다. 신화마을은 지난 1960년대 야음장생포동에 석유화학 공단이 들어서면서 고향을 떠나게 된 주민들이 집단 이주해 생긴 마을입니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와 남구가 2010년부터 신화마을의 담과 건물에 벽화를 그리고 고래와 바다를 주제로 한 조형물을 설치하는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울산광역시 남구는 4년 동안 신화마을 골목마다 고래에 관한 이야기를 입히고 주민들의 고단한 삶.. 2014. 7. 24. «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