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기 GO/낭만여행 [울산] 울산의 고래와 천혜의 바다자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곡리 태화강 부근에서 BC 2세기경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거주 고대 선사인들이 그려놓은 반구대암각화(국보 제 285호)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은 적이 있다. 암각화에는 선사시대 한반도 거주민들의 수렵대상이었던 긴수염 고래, 범고래, 향고래, 귀신고래(일명 쇠고래)등 수염고래류 50여 마리와 이들을 잡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고래 연구의 불모지인 우리학계는 그렇게 오래 전부터 한반도 주변에서 고래잡이가 이뤄졌다는 사실에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1부. 30년만의 해후. 한국 귀신고래 - 출처 : 울산MBC - 2부. 잃어버린길. 귀신고래의 회유경로를 찾아서 - 출처 : 울산MBC - 2011. 5. 23. [울산영상] 태화강 홍보영상 생명의 강, 태화강이 자연의 모습을 다시 갖추고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옴으로써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는 시민의 생명터로 재탄생되었죠 ^^ 울산을 상징하는 태화강,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2011. 5. 19. [울산영상] 과거 영상 3 2011. 5. 19. [울산영상] 과거 영상 2 ▼ 영상 1 ▼ 영상 2 2011. 5. 19. [울산영상] 과거 영상 1 ▼ 영상 1 ▼ 영상 2 2011. 5. 19. [울산영상] 울산시 홍보영상 더 큰 대한민국 우뚝한 울산 녹색산업 글로벌 거점도시 하늘도 강도 맑은 그린시티 한국 행정혁신의 리더 울산 품격과 배려의 문화복지도시 라는 슬로건으로 제작된 울산시의 홍보 영상입니다. ^-^ 2011. 5. 19. [울산] 자연여건 울산을 가로질러 태화강이 흐르고, 울산만에는 울산항, 온산항, 방어진항이 연이어 있습니다. 울산은 이들 항구를 일찍이 동아시아로 뻗어나가는 우리나라의 관문 구실을 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세계 여러나라와 교류·협력 관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울산광역시 총면적 1천58㎢에 인구 113만여명, 재정자립도 63.8%(2008년도 최종예산 기준)를 기록하는 한국7대 도시의 하나입니다. 태화강이 조성한 비옥한 토지와 울산만에 연이어 있는 울산항, 온산항, 방어진항, 그리고 이들 항구의 내안 구릉지에 형성된 약 1천9백만평의 공업용지는 산업도시 울산의 발전 기틀이 되었습니다. 울산광역시의 도심지는 신·구시가지와 배후 도시로 구분되고, 농어촌 지역과는 그린벨트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특히 울산 주변 동해안과 내륙지에는 .. 2011. 5. 18. [울산] 연혁 [삼한시대] 진한에 속함 [삼국시대] 신라 제5대 파사왕때 굴아화촌을 취함 [고려시대] 태조때 하곡, 동진, 우풍의 3현을 합하여 홍례부로 승격 [조선시대] 태종 13년 울주를 울산군으로, 선조 31년 울산도호부로 승격 고종 32년 울산도호부가 울산군으로 개칭 [근대] 1914년 : 부, 군을 정리, 폐합하는 지방제도 개편시 언양군을 울산군에 병합 1931년 : 종래의 면제를 개편, 울산면을 울산읍으로 승격 1936년 : 방어진면을 읍으로 승격 [현대] 1962년 : 1월 27일 각령 제403호로 울산 특정공업지구로 지정 공포 1962년 : 6월 1일 울산시 승격 1985년 : 중, 남구의 구제 실시 (2구 1출장소 40개동) 1988년 : 방어진 출장소를 동구청으로 승격 (3구 40개동) .. 2011. 5. 18. « 1 ··· 178 179 180 181 1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