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 제대로 분리배출하는 방법
얼마 전 재활용품 관련해 큰 이슈가 있었죠. 그렇지만 환경부가 긴급조치를 내려 고비는 넘겼습니다.
그러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종량제 봉투에는 기저귀, 휴지, 이물질이 묻은 종이류 등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를 넣어서 배출해야 하고, 분리배출이 가능한 재활용품들은 제대로 분리배출을 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데요. 재활용품 제대로 분리배출 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재활용 가능자원의 분리배출 방법
1) 대상 품목: 종이류, 종이팩류, 캔•고철류, 유리병, 플라스틱류, 비닐류
2) 기타 재활용 품목: 형광등, 전지류, 섬유(의류, 원단)류, 폐전자제품
- 폐형광등, 폐전지: 지역별 전용수거함 배출
- 섬유류: 전용수거함 배출
- 폐전자제품: (소형)지역별 분리수거함 / (대형)폐전자제품 무상 방문수거
※ 폐전자제품 무상 방문수거: 1599-0903 또는 http://www.edtd.co.kr/
3) 재활용품이 아닌 것: 컵라면 등 코팅된 일회용 용기, 코팅된 종이, 테이프, 포장 그물, 은박지, 음식물 포장 랩, 이쑤시개, 알약 포장재, 나무젓가락, 도자기류, 동물•생선뼈, 티백, 수건, 항아리류 등
재활용 분리배출 대상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겠죠?
재활용 분리배출 대상으로는 종이류, 종이팩류, 캔•고철류, 유리병, 플라스틱류, 비닐류가 있습니다. 폐형광등이나 폐전지, 섬유류, 폐전자제품은 별도로 배출하면 됩니다.
폐형광등, 폐전지는 주민센터 등 인근 전용수거함, 의류 등 섬유류 역시 전용수거함을 이용하면 됩니다.
소형가전은 이물질 제거 후 지자체 소형가전제품 분리수거함에 배출하며 중•대형가전은 ‘폐전자제품 무상 방문수거’를 이용해주세요.
그 외에 전단지 등 코팅된 종이, 컵라면 등 코팅된 일회용 용기, 테이프, 은박지, 음식물 포장 랩, 이쑤시개, 동물의 뼈, 티백 등은 재활용품이 아닙니다. 재활용품과 혼합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래요.
출처: 한국환경공단
합성수지류
1) 종류
- 페트
- 플라스틱: HDPE, LDPE, PP, PS, PVC, OTHER 재질 등의 용기•포장재
- 비닐류: HDPE, LDPE, PP, PS, PVC, OTHER 재질 등의 포장재, 1회용 봉투
- 스티로폼 완충재: 전자제품 완충재로 사용되는 발포합성수지포장재
2) 배출방법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다른 재질로 된 뚜껑(은박지, 랩 등)이나 부착 상표 제거
- 가능한 압착하여 배출
- 비닐(필름)류는 흩날리지 않도록 배출
- 음식물/이물질 묻은 경우 깨끗이 씻어서 배출 (많이 묻은 1회용 봉투 제외)
- TV•냉장고•세탁기•에어컨디셔너•오디오•개인용컴퓨터•이동전화단말기•프린터•복사기•팩시밀리제품의 발포 합성수지 완충재는 되도록 제품구입처로 반납할 것
- (발포합성수지포장재) 내용물을 비우고 부착상표 제거 후, 이물질은 깨끗이 씻어 배출
출처: 한국환경공단
천연 고분자 물질을 원료로 화학적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수지. 가장 흔히 보이는 재활용품이어서 그만큼 헷갈리기도 하는 품목이죠. 페트병을 비롯한 플라스틱 용기, 포장재나 비닐류, 스티로폼 완충재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품목들은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다른 재질로 된 뚜껑이나 부착 상표를 제거해 배출해야 하는데요. 가능한 압착하여 배출하는 것이 좋고, 비닐류는 흩날리지 않게끔 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묻었을 땐 씻어서 배출하면 되지만, 음식물•이물질이 많이 묻은 1회용 봉투는 제외합니다.
큰 전자제품을 구매했을 때 상자 안에 흔히 있는 스티로폼! 이것을 ‘발포합성수지완충재’라고 하는데요. 이는 되도록 제품 구입처로 반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포합성수지 포장재는 내용물을 비우고 상표를 제거해 깨끗이 배출해주세요.
출처: 한국환경공단
캔류
1) 종류
- 철캔, 알루미늄캔
- 기타캔류(부탄가스, 살충제 용기 등)
2) 배출방법
- 철캔, 알루미늄캔: 내용물을 비우고 가능한 압착, 겉/속의 플라스틱 뚜껑 제거, 이물질 넣지 말 것
- 기타캔류: 구멍을 뚫어 내용물 비운 후 배출
캔류에는 철, 알루미늄캔과 부탄가스, 살충제 용기 등의 기타캔류가 있습니다. 배출 시 내용물을 비우고 가능한 한 압착해주세요. 부탄가스, 살충제, 스프레이 용기 등은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우면 돼요.
겉 또는 속의 플라스틱 뚜껑은 재질이 다르니 제거해야겠죠? 또한 캔 안에 이물질을 넣지 않도록 해야 한답니다.
출처: 한국환경공단
종이팩
1) 종류: 종이팩
2) 배출방법: 내용물을 비우고 가급적 물로 헹군 후 반드시 일반폐지와 혼합되지 않게 압착하여 배출
※ 분리수거함이 없는 경우 다른 재활용품과 함께 배출
보통 우유, 두유팩에 많이 사용되는 종이팩은 일반 종이와 구별하는데요. 내용물을 비우고 가급적 물로 헹궈 압착해 주세요. 통합전용용기, 분리수거함이 없다면 다른 재활용품과 함께 배출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환경공단
종이류
1) 종류
- 신문지
- 책자, 노트 등
- 종이컵
- 상자류(골판지상자 등)
2) 배출방법:
- 신문지: 물기에 젖지 않게 하고, 반듯하게 펴서 차곡차곡 쌓은 후 묶어서 배출, 기타 오물 섞이지 않도록 함
- 책자, 노트 등: 비닐 코팅된 표지, 공책 스프링 제거 (비닐포장지는 제외)
- 종이컵: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한번 헹군 후 압착하여 봉투에 넣거나 한데 묶음
- 상자류(골판지상자 등): 비닐코팅 부분, 상자에 붙어있는 테이프•철핀 등 제거 후 압착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묶어서 배출
종이 중에서도 종이팩을 제외한 나머지 종이들은 모두 종이류(고지류)로 볼 수 있습니다. 신문지, 책자, 노트, 종이컵, 상자류 등이 종이류에 해당해요.
신문지는 물기에 젖지 않도록 반듯하게 편 다음 차곡차곡 쌓아 묶어서 배출하면 됩니다. 다만 광고지, 비닐류, 오물이 섞이지 않게 주의해주세요. 책자나 노트는 비닐 코팅된 표지, 공책 스프링을 제거해야 하며 종이컵은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한 번 헹궈주세요.
상자류는 비닐 코팅된 부분이나 상자에 붙은 테이프, 철핀을 모두 제거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압착해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묶어서 배출하면 돼요.
출처: 한국환경공단
유리병
1) 종류
- 음료수병, 기타병류
2) 배출방법
- 병뚜껑을 제거한 후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 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넣지 말 것
- 내열식기, 도자기편류 등은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
음료수병, 기타 병류는 병뚜껑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비워주시면 되는데요. 병 안에 빨대나 담배꽁초, 쓰레기 등 이물질을 넣지 않아야 한답니다. 유리병 중에는 빈용기보증금 대상 유리병이 있는데, 이것은 소매점 등에서 환불 받을 수 있어요. 유리병과 비슷한 내열식기, 도자기편류는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합니다.
재활용품 제대로 분리수거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꼼꼼한 분리수거보다 더 좋은 생활 습관이 있습니다. 바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 분리수거 대란을 계기로 더욱 분리배출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울산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누리 GO > 누리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여름 건강 책임질 6월 제철음식 4 (2) | 2018.06.01 |
---|---|
재활용품 제대로 분리배출하는 방법 (2) | 2018.05.30 |
콜레스테롤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과 낮추는 음식 (2) | 2018.05.23 |
꽃피는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과 예방법 (2) | 2018.05.1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재활용 분리하기 제대로 잘 해야 환경을 살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