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인구 광역시 승격 이후 꾸준히 증가
울산 GO/History2012. 11. 19. 11:19
울산의 인구가 지난 1997년 광역시 승격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시는 광역시 승격 이후 지난 1998년부터 2011년까지(14년 간) 인구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 증감률은 0.8%로 조사됐습니다. 2000년(1.6%), 2001년(1.5%), 2008년(1.1%)은 평균보다 높게, 2009년(0.2%), 2006년(0.4%), 2005년(0.6%)은 평균보다 낮게 증가했습니다. 감소는 한번도 없었습니다.
2012년 10월말 현재 울산시의 인구는 외국인 포함 총 116만 4369명(남 60만 1551명, 여 56만 2818명)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년(2011년) 10월말 대비 2012년 인구 증감률은 1.0%로(외국인 제외)로 전국 평균 0.4% 보다 훨씬 높습니다. 인천(1.5%), 경기도(1.3%), 제주(1.2%) 다음으로 울산입니다.
2012년 울산시 인구 이동 현황을 보면 전입자수(총 4만 3916명)는 부산(22%), 경남(16.5%), 경북(15.7%), 서울(11%) 등의 순으로 파악됐습니다. 전출자수(총 4만 785명)는 부산(19.7%), 경북(16.0%), 경남(15.8%), 서울(14.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유는 전출입 모두 직업, 가족, 주택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울산의 인구가 광역시 승격 이후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산업도시로서의 위상과 함께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 체육, 관광, 환경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져 정주여건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 광역시 이후 인구 증감 현황 >
□ 2012년 10월말 인구 현황
ㅇ 총인구(외국인 포함) : 1,164,369명(남 601,551명, 여 562,818명)
※ 내국인 1,145,096명, 외국인 19,273명
ㅇ 총세대 : 420,865세대
※ 2011년 10월말 411,674세대 대비 9,191세대(2.23%) 증가
□ 시도별 인구 증감률
ㅇ 전년 동월대비 인구 증감률은 전국 평균(0.4%)보다 0.6% 높은 1.0%로 인천(1.5%), 경기도(1.3%), 제주(1.2%), 울산(1.0%) 순으로 높음
(단위 : 명, 외국인 제외)
구군 |
인구수 |
증감률 | |
2011년 10월 |
2012년 10월 | ||
전 국 |
50,699,478 |
50,912,264 |
0.4% |
서울특별시 |
10,266,174 |
10,212,445 |
-0.5% |
부산광역시 |
3,554,635 |
3,540,098 |
-0.4% |
대구광역시 |
2,509,297 |
2,507,571 |
-0.1% |
인천광역시 |
2,794,493 |
2,836,080 |
1.5% |
광주광역시 |
1,464,073 |
1,469,614 |
0.4% |
대전광역시 |
1,513,877 |
1,523,647 |
0.6% |
울산광역시 |
1,134,125 |
1,145,096 |
1.0% |
경기도 |
11,908,014 |
12,060,335 |
1.3% |
강원도 |
1,534,555 |
1,538,869 |
0.3% |
충청북도 |
1,560,895 |
1,564,665 |
0.2% |
충청남도 |
2,096,445 |
2,025,274 |
-3.4% |
전라북도 |
1,874,058 |
1,873,353 |
0.0% |
전라남도 |
1,912,509 |
1,908,998 |
-0.2% |
경상북도 |
2,695,145 |
2,696,180 |
0.0% |
경상남도 |
3,305,621 |
3,317,523 |
0.4% |
제주특별자치도 |
575,562 |
582,693 |
1.2% |
□ 광역시 이후 인구증감 현황
(단위 : 명, 외국인 제외)
구분 |
인구수 |
증감 |
|
자연적증감 |
사회적증감 | ||||||
증감률 |
|
출생 |
사망 |
|
순이동 |
|
재등록․말소․기타 | ||||
|
전입 |
전출 | |||||||||
1997 |
1,009,652 |
18,367 |
|
14,435 |
18,151 |
3,716 |
3,932 |
3,838 |
56,846 |
53,008 |
94 |
1998 |
1,015,249 |
5,597 |
0.6% |
12,895 |
16,566 |
3,671 |
-7,298 |
-5,568 |
47,656 |
53,224 |
-1,730 |
1999 |
1,024,336 |
9,087 |
0.9% |
11,765 |
15,609 |
3,844 |
-2,678 |
-1,900 |
51,609 |
53,509 |
-778 |
2000 |
1,040,225 |
15,889 |
1.6% |
11,889 |
15,734 |
3,845 |
4,000 |
3,216 |
50,831 |
47,615 |
748 |
2001 |
1,055,618 |
15,393 |
1.5% |
9,609 |
13,507 |
3,898 |
5,784 |
5,988 |
53,276 |
47,288 |
-204 |
2002 |
1,065,037 |
9,419 |
0.9% |
7,639 |
11,573 |
3,934 |
1,780 |
2,625 |
52,612 |
49,987 |
-845 |
2003 |
1,072,867 |
7,830 |
0.7% |
7,512 |
11,650 |
4,138 |
318 |
1,872 |
55,708 |
53,836 |
-1,554 |
2004 |
1,081,453 |
8,586 |
0.8% |
7,152 |
11,093 |
3,941 |
1,434 |
1,764 |
53,003 |
51,239 |
-330 |
2005 |
1,087,648 |
6,195 |
0.6% |
6,341 |
10,422 |
4,081 |
-146 |
-392 |
51,515 |
51,907 |
246 |
2006 |
1,092,494 |
4,846 |
0.4% |
6,616 |
10,685 |
4,069 |
-1,770 |
-2,411 |
51,446 |
53,857 |
641 |
2007 |
1,099,995 |
7,501 |
0.7% |
7,811 |
11,918 |
4,107 |
-310 |
-992 |
52,419 |
53,411 |
682 |
2008 |
1,112,407 |
12,412 |
1.1% |
7,193 |
11,365 |
4,172 |
5,219 |
3,906 |
54,093 |
50,187 |
1,313 |
2009 |
1,114,866 |
2,459 |
0.2% |
6,716 |
11,033 |
4,317 |
-4,257 |
-5,031 |
47,615 |
52,646 |
774 |
2010 |
1,126,298 |
11,432 |
1.0% |
7,106 |
11,433 |
4,327 |
4,326 |
-3,525 |
47,789 |
51,314 |
7,851 |
2011 |
1,135,464 |
9,196 |
0.8% |
7,166 |
11,620 |
4,454 |
2,030 |
1,872 |
50,394 |
48,522 |
158 |
평균증감률 0.8.%
□ 인구이동 (전․출입]
ㅇ 2012년 전입자수는 부산(9,653명), 경남(7,230명), 경북(6,897명), 서울(4,826명) 순으로 높고, 세종(19명), 제주(344명), 광주(580명), 충북(826명)순으로 낮음
ㅇ 2012년 전출자수는 부산(8,024명), 경북(6,511명), 경남(6455명), 서울(5,809명)순으로 높고, 세종(21명), 광주(308명), 제주(310명), 충북(743명)순으로 낮음
(단위 : 명, %)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입 (구성비) 43,916 4,826 9,653 3,211 935 580 827 19 4,705 1,071 826 1,012 930 850 6,897 7,230 344 (100) (11.0) (22.0) (7.3) (2.1) (1.3) (1.9) (0.0) (10.7) (2.4) (1.9) (2.3) (2.1) (1.9) (15.7) (16.5) (0.8) 전출 (구성비) 40,785 5,809 8,024 2,576 900 308 732 21 4,815 816 743 1,167 810 788 6,511 6,455 310 (100) (14.2) (19.7) (6.3) (2.2) (0.8) (1.8) (0.1) (11.8) (2.0) (1.8) (2.9) (2.0) (1.9) (16.0) (15.8) (0.8) □ 전
ㅇ 2012년 울산시 전입 사유는 직업(44.8%), 가족(27.9%), 주택(15.5%) 순이며, 전출 사유는 직업(31.9%), 가족(22.0%), 주택(17.7%) 순임
|
|